-
주식기초 재무제표 보는 법 - ROE(자기자본이익률) 개념 정리경제공부 - 주식 2024. 5. 11. 15:23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ROE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OE(Return on Equity)는 자본이익률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업이 자기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ROE는 투자자에게 특정 회사에 투자한 자본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익을 생성하는지를 측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ROE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ROE 공식
여기서 순이익은 기업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총 이익에서 비용, 세금, 이자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쉽게 말해 최종 남은 이익, 즉 주주의 몫을 의미합니다. 자본총계는 주주들로부터 받은 자본금과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를 재투자하여 쌓인 이익 누적액을 모두 합한 값입니다. 이 자본 총계에는 부채가 들어가 있지 않다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이익이 다음 해의 자본총계로 유보되는 경우, 순이익은 더 많이 나야 ROE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자본 규모가 커질수록 ROE 유지는 더 어려워진다는 점도 유념해야 합니다.
ROE는 높을수록 기업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높은 수익을 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가도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높은 ROE는 부채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고, 부동산 판매 같은 영업외 수익이 당기순이익으로 잡히기도 해 일시적으로 ROE가 크게 나타날 수도 있으니, 다른 재무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습니다.다음은 한경경제사전에 따른 ROE 설명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서, 주주가 갖고 있는 지분에 대한 이익의 창출 정도를 나타낸다. 자기자본이 1,000원이고 당기순이익이 100원이라면 ROE는 10%가 된다. 쉽게 말해 주주들이 1,000원을 투자한 회사에서 100원을 벌었다는 의미다.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투자자금의 조달비용을 초과하는 이익을 낼 수 있는 셈이다. ROE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익성을 증가시키거나, 자산의 활동성(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또 같은 자산으로 사업을 하더라도 자기자본보다 부채가 많을수록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ROE가 높아진다. 그러나 부채를 많이 사용하면 회사가 부도를 낼 위험이 높아지게 되므로 부채비율이 높은 회사의 높은 ROE는 좋은 것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ROE가 비슷한 수준이더라도 회사별로 수익성, 자산의 활동성, 재무위험 등은 다르다.ROE 15% 이상 꾸준히 유지되는 기업 매력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한다고 합니다. (워렌 버핏은 최근 3년간 ROE가 15% 이상인 기업을 본다고 합니다.)
ROE 과하게 높거나, 일회성 이익으로 높게 나왔다면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Eva's note: 잘 보셨나요? 들고 있는 주식들 지표를 한 번 확인해 보세요. 저는 무려 -50%인 주식도 있네요. 적자가 났었나 봅니다..반면 150%인 경우도 있네요. 거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주식은 15%입니다. 부채도 많이 없는 것 같고 흑자로 전환되기 시작한 초기 기업 같은데, 긍정적으로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역시 ROE 한 지표만으로 상황을 짐작하기는 힘든 것 같고 다른 지표들과 같이 해석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주식 분석 지표 하면 빼놓을 수 없는 PER, PBR, PSR 분석도 있으니 가볍게 봐주시기 바랍니다!
주식 투자 기초 상식 인텔 분석으로 PER PBR PSR 가치지표 보기
토스증권에서 주식 투자를 하다보면 상장회사의 종목 정보에서 가치평가지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여기에PER, PBR, PSR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고, 단순하게 몇 배인지 숫자로 표현되는데
evasbrandingstory.tistory.com
그럼, 성투하세요!~
반응형'경제공부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시장 분석에서 수급 동향 파악이 중요한 이유 (0) 2024.06.02 상장지수펀드 ETF의 여러 전략들과 꼭 읽어야 할 글 목록 (1) 2024.05.30 연결재무제표 개념과 주의해서 볼 점 (지배지분과 비지배지분) (0) 2024.05.28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가 되는 경우 (0) 2024.05.22 주식 투자 기초 상식 인텔 분석으로 PER PBR PSR 가치지표 보기 (1) 202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