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연결재무제표 개념과 주의해서 볼 점 (지배지분과 비지배지분)
    경제공부 - 주식 2024. 5. 28. 00:10
    반응형
     

     

     

     

    연결재무제표(連結財務諸表,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는 하나의 경제 실체를 구성하는 모기업과 그 자회사의 재무제표를 합친 것입니다. 이는 전체 그룹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작성됩니다. 2011년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s)라고 하는 국제회계기준율의 모든 상장 기업에 대한 적용이 의무화되면서, 연결재무제표가 기본재무제표가 되었습니다. 연결재무제표는 개별 회사의 재무제표와 달리 그룹 전체의 재무 상태를 보여주며, 이를 통해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보다 투명하고 일관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


    1. 연결대차대조표(Consolidated Balance Sheet)
       - 자산, 부채, 자본을 포함합니다.
       - 모회사와 자회사의 모든 자산과 부채를 포함하여 그룹 전체의 재무 상태를 나타냅니다.

    2. 연결손익계산서(Consolidated Income Statement)
       - 수익, 비용, 이익 등을 포함합니다.
       - 모회사와 자회사의 모든 수익과 비용을 포함하여 그룹 전체의 경영 성과를 나타냅니다.

    3. 연결현금흐름표(Consolidated Cash Flow Statement)
       - 영업, 투자, 재무 활동으로부터의 현금 흐름을 포함합니다.
       - 모회사와 자회사의 모든 현금 흐름을 포함하여 그룹 전체의 현금 유동성을 나타냅니다.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준

    1. 지배력 기준(Controlling Interest)
       - 모회사가 자회사의 지배력을 갖고 있는 경우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됩니다. 지배력은 일반적으로 5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경우를 말합니다.

    2. 조정 및 제거(Elimination of Intra-group Transactions)
       - 그룹 내의 거래와 잔액은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조정 및 제거됩니다. 예를 들어, 모회사와 자회사 간의 내부 매출은 외부 매출로 반영되지 않습니다.

    3. 비지배지분(Non-controlling Interests)
      자회사의 일부 지분이 외부 주주에게 있는 경우, 이를 비지배지분으로 처리하여 연결대차대조표에 반영합니다. 주의할 점은, 연결당기순이익에는 이러한 지분 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모회사와 자회사의 당기순이익을 합산한 금액이 반영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당기 순이익에서 지배주주순이익이라는 항목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연결재무제표는 기업 그룹 전체의 재무 상태와 성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와 기타 이해관계자들은 그룹의 재무 건전성과 경영 성과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사경제사전에서 정의하는 연결재무제표의 정의를 덧붙입니다.

    연결재무제표
    지배/종속관계에 있는 개별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연결해 하나로 만든 재무제표를 말한다.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는 기업 가운데 계열사와 지배ㆍ종속 관계에 있는 기업은 연결재무제표를 만들어야 한다. 기업집단 내의 개별회사 재무제표를 결합하여, 개별회사의 재무제표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기업집단 전체의 경영성적과 재정상태를 적절하게 표시하는 것이 연결재무제표 작성의 목적이다. 연결재무제표는 연결재무상태표,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결자본변동표, 연결현금흐름표 등으로 이루어지며 주석을 포함한다. 지배+G89회사는 연결실체 내 개별재무재무제표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을 항목별로 합산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한다. 연결재무제표에는 모회사와 자회사 간의 내부거래나 연결된 기업간에 이전된 부채, 손실 등이 그대로 드러나게 돼 개별재무재표보다 경제적 실질을 잘 반영한다는 점, 출자로 연결된 회사집단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개별기업의 고유정보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출자관계가 없을 경우에는 내부거래를 한다 하더라도 실체를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지배회사가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지만 연결재무재표 작성의무에서 벗어나 이를 작성하지 않는 회사가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그룹들과 같이 총수가 지배하는 기업집단의 경우 연결재무제표보다는 결합재무제표를 작성해야 전체적인 파악이 가능하다는 지적이 있다. 
    (출처: 시사경제용어사전)

     

     

    Eva's note: 투자자라면 회사의 재정 상황을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재무제표를 보고 지배지분순이익과 비지배지분순이익만 파악해도, 내가 투자하는 회사에 대해서 착오 없이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명한 투자 활동을 위해서 표를 보는 연습을 게을리하지 않는다면 점점 투자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